|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C#크롤링
- android
- mybatis
- c:choose
- fullcalendar
- Spring
- 쿼리
- node.js
- iBATIS
- JSTL
- AndroidStudio
- jsx
- Callback
- RequestMethod.POST
- react
- NPM
- egov
- 서드파티모듈
- 콜백
- c:forEach
- MySQL
- jQuery
- HTTP
- MVC
- JavaScript
- Java
- 동적쿼리
- SQL
- 국제화
- vscode
- Today
- Total
목록Java (8)
Today Yewon Learned
SQL Query SELECT STATE_DATE , MAC_CD , MAC_CPU , MAC_MEMORY , MAC_CAPA FROM js_machine_state_log WHERE MAC_CD LIKE CONCAT('%',#MAC_CD#,'%') index.jsp 검색 일부분 장비 검색 장비명 검색 - search_machine_nm을 통해 검색 Contorller.java 일부분 if(request.getParameter("search_machine_nm") == null) { data.setMAC_CD(""); }else { data.setMAC_CD(request.getParameter("search_machine_nm")); } List state_list = machineService.get..
- 반복문을 태그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태그 - 기본적인 기능은 자바에서 foreach문과 동일하게 배열들을 하나씩 넣어가며 진행 기본 사용법 ... 변수를 사용 할 경우 결과) 12345678910 반복 객체를 사용할 경우 결과) 123 varStatus 사용 결과) index 0123 count 1234
제네릭(Generic) - 데이터 형식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의 값이 여러 다른 데이터 타입들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클래스 내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 - 잘못된 타입이 들어올 수 있는 상황을 컴파일 단계에서 방지 가능 - 코드 재사용성 높아짐 제네릭(Generic)의 타입 파라미터 - 가장 흔히 쓰는 이름은 T(Type)과 E(Element) - 만약 HashMap의 경우에는 K(Key)와 V(Value) - T1, T2, T3처럼 숫자를 붙일 수도 있음 타입 파라미터 의미 Type Element Key Value Number 제네릭(Generic)의 사용 아래 꺽쇠 기호()사이에 있는 T를 '타입 파라미터' 라고 부르며, Box와 같이 타입 파라미터를 받..
자바의 데이터형 ■ 기본형(Primitive Type) - Boolean Type(boolean) - Numeric Type(Short, int, long, float, double, char) ■ 참조형(Reference Type) - Class Type - Interface Type - Array Type - Enum Type 등 캐스팅(Casting) - 캐스팅(Casting)은 형변환이라고 부르기도 함 - 객체지향(OOP)에서의 다향성(Polymorphism)에 있어 매우 중요함 - 다형성과 관련 - 종류 : UpCasting, DownCasting ■ 기본형(Primitive Type)의 캐스팅 - 보통 "데이터 손실"을 막기위해 동작 int a = 1.2345; // 컴파일 에러 int new..
상속(extends, Inheritance) - 상속이란 부모 클래스(상위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하위 클래스)가 있으며,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를 선택해서 그 부모의 멤버를 상속받아 그대로 쓸 수 있음 - 중복된 코드 줄임 → 유지보수 편리 - 통일성 - 다형성 - 단, 상속을 하더라도 자식 클래스가 부모의 모든 것들을 물려받는 것은 아님 부모 클래스의 private 접근 제한을 갖는 필드 및 메소드는 자식이 물려받을 수 없음 부모와 자식 클래스가 서로 다른 패키지에 있다면, 부모의 default 접근 제한을 갖는 필드 및 메소드도 자식이 물려받을 수 없음 (default 접근 제한은 ‘같은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만 접근이 가능하게끔 하는 접근 제한자이기 때문) 그 이외의 경우는 모두 상속의 대상이..
객체 지향 - Setter 메소드와 Getter 메소드를 사용하는 근본적 이유는 '캡슐화(encapsulation)'를 달성하기 위함 * 캡슐화(encapsulation) - 서로 관련있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다루는 메서드를 하나의 클래스로 묶는 것 * 정보은닉(Information Hiding) - 다른 객체에게 자신의 정보를 숨기고, 오직 연산만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메소드를 통해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선호 1. Setter 메소드 - 데이터는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메소드는 외부에 공개하여 메소드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유도 ex) 자동차 속도를 setSpeed( ) 메소드로 변경할 경우 아래와 같이 검증 코드를 작성 void setSpee..
pokedex.put("피카츄", new Pokemon("라이츄")); 1. HashMap - HashMap은 'value(원소)'와, 그 원소를 가리키는 'key' 값을 같이 저장 - 순서만 있는 ArrayList와 달리, key와 value가 쌍을 이룸 - List처럼 뭉텅이로 저장하지않고, Map에 아이템을 저장할 때 마다 빈공간을 찾아 저장 - 따라서 List보다 데이터 저장 속도가 느림 2. HashMap 생성 - HashMap는 java.util.HashMap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먼저 java.util.HashMap import를 진행 import java.util.HashMap; HashMap pokedex = new HashMap(); 3. Key-Value 쌍 추가 - HashMap에 쌍..
1. ArrayList -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로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 - 일반적인 배열과 같은 순차리스트이며 인덱스로 내부의 객체를 관리한다는점등이 유사하지만 한번 생성되면 크기가 변하지 않는 배열과는 달리 ArrayList는 객체들이 추가되어 저장 용량(capacity)을 초과한다면 자동으로 부족한 크기만큼 저장 용량(capacity)이 늘어난다는 특징을 가짐 2. ArrayList 생성 - ArrayList는 java.util.ArrayList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먼저 java.util.ArrayList import를 진행 import java.util.ArrayList;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 타입 미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