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MySQL
- c:choose
- HTTP
- NPM
- Callback
- 국제화
- c:forEach
- 서드파티모듈
- 쿼리
- MVC
- SQL
- AndroidStudio
- jsx
- mybatis
- Spring
- RequestMethod.POST
- node.js
- react
- iBATIS
- Java
- C#크롤링
- JSTL
- fullcalendar
- vscode
- JavaScript
- 콜백
- egov
- 동적쿼리
- android
- jQuery
Archives
- Today
- Total
Today Yewon Learned
[Node.js] 초간단 웹 서버 제작 본문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통신규약 필요
const http = require('http'); // http 코어모듈 사용
let server = http.createServer(function(request, response) { //createServer(); 서버 역할을 하는 객체 하나 생성
response.end('<h1>Hello world!</h1>'); //서버 객체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을 시 응답할 내용 설정
});
server.listen(3000); //서버 객체가 외부 요청 받아들임 3000:포트번호
HTTP -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통신을 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의 통신규약, 프로토콜
127.0.0.1 -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컴퓨터가 갖는 IP주소
(자기 자신의 컴퓨터를 나타내도록 특별히 정해진 주소, 개발test용으로 주로 사용)
request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관한 객체
response - 서버 객체가 할 응답에 관한 객체
* node.js terminal 종료 - Ctrl+C
결과)
프로토콜(Protocol)
이전 영상에서 저는 서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http라는 코어 모듈을 로드했습니다. 이때 http라는 단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규약' 혹인 '프로토콜'의 이름이라고 했는데요. 프로토콜(protocol)이란 '약속', '규약'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약'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클라이언트는 어떤 식으로 데이터를 보내줘야 하고, 서버는 또 어떤 식으로 데이터를 보내줘야 하는지에 관한 규약이라는 거죠. 프로토콜에는 ftp, telnet, ssh, pop3, smtp, http, https 등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요. 이 중에서도 웹 개발을 할 때는,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쉽게 볼 수 있는 http, https 라는 프로토콜이 중요합니다.
'javascript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라우팅(Routing) (0) | 2021.12.08 |
---|---|
[Node.js] URL , Domain Name (0) | 2021.12.07 |
[Node.js] 서버와 클라이언트 (0) | 2021.12.04 |
[Node.js] 이벤트에 추가 정보 함께 전달하기 (0) | 2021.12.04 |
[Node.js]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이벤트 (0) | 2021.11.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