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Spring
- MySQL
- 서드파티모듈
- 공개키암호시스템
- 동적쿼리
- c:choose
- node.js
- RequestMethod.POST
- Java
- fullcalendar
- jQuery
- NPM
- android
- 전자서명
- vscode
- mybatis
- AndroidStudio
- react
- 대칭키암호화
- 대칭키암호시스템
- 해시함수
- JSTL
- JavaScript
- 암호학
- jsx
- 무결성
- C#크롤링
- SQL
- c:forEach
- 국제화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1)
Today Yewon Learned
폴더 구조 경로 지정 view - calendar - index.jsp 파일
@RequestMapping - URL을 컨트롤러의 메서드와 매핑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 요청주소 (url) 설정, 요청 방식(GET, POST, DELETE, PATCH) 설정 - 요청 방식 동시 설정 가능 ex) @RequestMapping(value = "/test", method = {RequestMethod.GET, RequestMethod.POST}) * 만약 GET, POST 상관없이 Controller의 로직을 수행하고 싶다면, RequstMapping의 method부분을 삭제하면 됨 GET 방식 @RequestMapping(value="경로", method=RequestMethod.GET) - GET 방식의 경우는 헤더에 붙여서 전송되기 때문에, 도메인 주소를 보면 내가 입력한 값이..
■ 라이브러리 - Fullcalendar-5.10.1 ■ 편집기 -VisualStudioCode ■ Docs https://fullcalendar.io/docs#toc 폴더 구조 calendar fullcalendar 1. calender라는 폴더 안에 fullcalendar폴더 생성 2. 다운받은 라이브러리에서 main.js와 main.css를 fullcalendar안에 복사 3. 원하는 템플릿 선택후 html 파일에 아래 코드 지정한 경로대로 수정 실행화면
Node.js의 이벤트 - 어떤 일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 const EventEmitter = require('events'); // 'events'라는 코어 모듈 가져오기 const myEmitter = new EventEmitter(); // 'myEmitter' 객체 생성 myEmitter.on('test', () => { // 'myEmitter'객체가 두 메소드 호출 (on, emit) console.log('Success!'); }); myEmitter.emit('test'); - 'events' 코어 모듈 : 클래스 하나를 외부에 공개 (EventEmitter 클래스 외부에 공개) - EventEmitter : '이벤트 발송기', '이벤트 전파기' 로 해석되며, 이벤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
동기 실행 방식 예시) const fs = require('fs'); console.log('Start'); let content = fs.readFileSync('./new', 'utf8'); // 동기 실행 부분 console.log(content); console.log('Finish'); 출력 결과) Start Hello Node.js! Finish - readFileSync 함수 : 동기 실행 함수 비동기 실행 방식 (Node.js 권장) - 특정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실행할 콜백을 등록해두고, 바로 다음 코드로 실행을 넘기는 것 예시) console.log('Start'); fs.readFile('./new', 'uft8', (error, data) => { // 비동기 실행 부분 consol..
모듈(Module) - 전체를 이루는 부품 하나하나 - JavaScript 파일 하나 - 프로그램 : 모듈들의 모임 모듈의 핵심 Module Load - 하나의 모듈에서 다른 모듈의 기능을 가져와 사용하는 것 - Module Load 두 가지 방법 존재 1. 공개하고 싶은 것들을 하나씩 exports로 공개 2. 공개하고 싶은 것들을 모아서 하나의 객체로 만들고 module.exports로 객체를 통째로 공개 ■ math-tools.js 모듈 추가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exports.add = add; export '내보내다' - 모듈 내부의 것들을 외부로 공개해야 외부에서 사용 가능 - exports.add = add라는 함수를 모듈 외부에서도 add라는 이..
JavaScript란? - 웹 브라우저에서 여러 요소를 동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사용 - 외부와 통신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Node.js란? - Ryan Dahl 이 2009년에 발표 - JavaScript를 웹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또 다른 자바 스크립트 실행 환경 - server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음 (server -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으로 어떤 요청을 보냈을 때 응답을 해주는 컴퓨터) - GUI, 로봇용 프로그램 제작 가능 - JavaSctipt만 배워도 웹 서비스 제작 가능 - Node.js는 프레임워크가 아니고, 자바스크립트라는 언어의 '실행 환경'일 뿐임 (이와 달리 프레임워크의 경우, 일정한 틀이 있기 때문에 개발자는 이 틀에서 개발하..
제네릭(Generic) - 데이터 형식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의 값이 여러 다른 데이터 타입들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클래스 내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 - 잘못된 타입이 들어올 수 있는 상황을 컴파일 단계에서 방지 가능 - 코드 재사용성 높아짐 제네릭(Generic)의 타입 파라미터 - 가장 흔히 쓰는 이름은 T(Type)과 E(Element) - 만약 HashMap의 경우에는 K(Key)와 V(Value) - T1, T2, T3처럼 숫자를 붙일 수도 있음 타입 파라미터 의미 Type Element Key Value Number 제네릭(Generic)의 사용 아래 꺽쇠 기호()사이에 있는 T를 '타입 파라미터' 라고 부르며, Box와 같이 타입 파라미터를 받..
